❐주정주의 - 감정은 행위의 동기이다.
◦다른 사람의 눈물과 비명은 항상 동정심을 불러 일으켜 우리의 마음을 불편하게 만든다.
◦감정을 도덕적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 본다. 도덕성의 원천을 공감의 능력에서 찾았다.
◦이성은 단지 감정의 노예일 뿐이므로 행위를 가져오는 동기로서의 힘으로는 너무나 미약하다. 또한 모든 사람은 타인의 행복과 불행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공감의 능력을 가지고 있다.
◦덕은 정신적 행위나 방관자에게 시인의 감정을 주는 모든 것이며 악덕은 그 반대이다. 도덕적 구별은 고통이나 쾌락이라는 특정한 감정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그리고 우리들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마음씨를 우리가 바라보거나 반성할 때 그것이 우리에게 만족감을 준다면 그런 마음씨는 당연히 유덕하다. 인간의 모든 일들 가운데 불편함을 주는 것은 부덕하다. 그런데 우리들 자신의 성품은 언제나 긍지와 사랑을 불러 일으킨다. 불편함을 주는 사람은 모두 경멸과 증오를 불러일으킨다.
◦도덕적 구별은 고통이나 쾌락이라는 특정한 감정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그리고 우리들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마음씨를 우리가 바라보거나 반성할 때 그것이 우리에게 만족감을 준다면 그런 마음씨는 당연히 유덕하다.
◦행위가 덕스럽거나 사악한 까닭은 그것을 볼 때 쾌나 불쾌의 감정이 우리 안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사악한 것으로 인정되는 행위를 모든 면에서 검토해 보라. 당신이 거기서 발견할 것은 행위가 악하다는 사실이 아니라 오로지 정념, 동기, 의지, 사고 들뿐이다.
✍우리가 어떻게 살것인가의 목표을 정할 때 사용되는 것은 이성이 아니라 정념이다.어떻게 살것인가의 질문에는 다음의 두가지 측면이 있다. 삶의 목표와 특정 목표가 있을 때 어떤 수단과 방법을 통해서 그 목표를 이룰 것인가라고 하는 것이다. 흄에 따르면 첫 번째 의미 삶의 목표,어떤 목적을 추구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성이 아니라 정념이 답을 해 준다. 좋음과 싫음의 문제는 이성이 아니라 정념의 문제이다. 예를 들면 사랑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재벌 2세가 산골의 소녀를 좋아하게 되었다. 부모가 어떻게 그런 조건의 여자와 사랑에 빠지냐고 헤어지라고 즉 싫어하라고 아무리 이성적으로 설득하여도 싫음을 유발하지 못한다. 재벌2세의 아들은 헤어지지 않을 것이다. 사랑은 정념의 영역이기에 이성은 싫음을 만들어 내지 못한다. 정원에 꽃을 피우는 사람이 회사로 출근 해야 하는 시간에 문득 정원에 꽃들이 잘 자라고 있는지가 궁금해 꽃의 숫자를 헤아리고싶은 마음이 들었다고 하자. 이순간 이사람은 회사를 출근하지 않고 꽃의 숫자를 헤아릴 수 있는 핑게를 찾게 된다. 이 경우 정원의 꽃을 돌보기 위해 회사에 출근을 안하는 비합리적이라고 사람이라고 말해도 아무 소용이 없다. 그냥 하고 싶은 것은 하고 싶은 것이다.
✍합리성을 떠난 좋음과 싫음(호불호) : 나의 손가락이 긁히기 보다 세계 전체의 파괴를 선호하는 것이 이성에 반하지 않는다. 인도인 혹은 내가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미칠 아주 미약한 불편함을 방지하기 우해 나 자신의 파멸을 선호하는 것이 이성에 반하지 않는다. - 본성론 2권3부3절
◦하고 싶은 것이 아무리 비합리적이라도 하고 싶으면 하고싶은 것이다. 손가락이 긁히는 것이 비합리적이 되려면 마음 속에 세계를 중요시 여기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세계가 마음의 정념으로 들어와 있지 않다면 손가락을 선택하는 것이 전혀 비합리적이지 않다.
◦즐거움을 주는 대상에 마음이 끌리고 고통을 주는 대상은 꺼리게 되는 우리의 정서적 반응이 우리릐 삶을 기본적으로 규정한다.
◦이성의 역할은 도구적 합리성이다. 특정 목적의 타당성,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목표를 가장 효과적,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도를 모색하는 능력이다. 인간은 어떤 다른 존재보다 도구적 합리성이 뛰어난 존재이다.
□ 동서양 철학윤리 핵심 키워드 - Google Play 도서
□ 윤리 철학 논쟁(윤리와 사상 핵심 쟁점) - Google Play 도서
□ 생활과 윤리(버전3.9) - Google Play 도서
□ 수능 윤리와사상 - Google Play의 Android 앱
□ 수능 생활과윤리 - Google Play의 Android 앱
'인문 윤리 > 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역할 (0) | 2015.10.28 |
---|---|
흄의 사상 공감 시인과 비난 (0) | 2015.10.27 |
흄의 사상 이성은 감정의 노예이다. (0) | 2015.10.27 |
흄의 경험론 (0) | 2015.10.27 |
흄의 인간 본성에 관한 연구 (0) | 2015.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