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윤리

12강 예술과 윤리 핵심키워드 기출제시문 기출선지



▥ 예술과 윤리 핵심 키워드

절대적 도덕주의 - 플라톤(Platon)

◦모든 예술 작품은 고결한 품성과 올바른 행위를 포함하여 도덕적 교훈이나 본보기를 제공해야 함

◦예술은 사회의 산물이므로 그 자체로 자율성을 지닐 수 없음

◦미적인 것은 도덕의 지배를 받는다.-러스킨

◦예술의 사회적 영향력을 강조함

◦참여 예술론:예술가도 사회인이며 예술 활동 역시 사회 활동이므로 예술은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사회 발전에 이바지해야 함

절대적 심미주의 - 와일드(Wilde, O.), 스핑건(Spingarn, J.)

◦예술은 도덕, 정치 등 다른 것을 위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됨

◦예술은 예술 자체나 아름다움의 추구를 목표로 해야 함

◦예술은 도덕적 평가에서 자유로워야 함

◦순수 예술론, 예술 지상주의, 예술의 자율성 강조, 예술을 위한 예술

예술의 사회성

◦동양의 예악(禮樂) 사상과 서양의 선미(善美) 사상

◦정약용의 윤리적 음악관:음악을 통한 감정의 정화 강조

◦톨스토이의 예술관: “예술은 만인에게 없어서는 안 될 정신적인 복지”

동양의 예악 사상에 나타난 예술과 윤리의 상호 보완성

◦예(禮)는 구별의 원리를 따른 것이고, 악(樂)은 조화의 원리를 따른 것임

◦예(禮)와 악(樂)은 상호 보완적임

◦예와 악이 잠시라도 우리 몸에서 떠나 있게 해서는 안 된다고 봄


▥ 예술과 윤리 기출 제시문

도덕 지상주의

◦시로써 감흥을 일으키고, 예의로써 행동하며, 음악으로써 인격을 완성한다[興於詩 立於禮 成於樂].  -공자

◦우리는 좋은 성품에 의해 아름답고 고귀한 본성을 찾아 가는 예술가를 발굴해야 한다. 그리하여 젊은이들이 아름다운 이성(理性)을 닮고 서로 사랑하고 조화를 이루게 되기를 바란다.-플라톤

◦좋은 리듬, 좋은 말씨, 조화로움이 담겨 있는 예술 작품은 청소년에게 좋은 성격을 갖게 하지만 나쁜 리듬, 나쁜 말씨, 부조화가 담겨 있는 예술 작품은 나쁜 성격을 갖게 한다.

◦고야의 작품 <1808년 5월3 일>은 외국 군대가 저지른 잔혹한 양민학살을 고발했다는 점에서 명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시인들의 창작 활동을 감시하여 좋은 성품의 상(像)을 자신들의 시 속에 새겨 넣도록 강요해야 한다. 

◦음악이 바르고 화평하면 곧 사람들은 화합하며 빗나가지 않게 되고, 음악이 엄숙하고 장중하면 곧 사람들은 질서가 있어 어지럽지 않게 된다. 반면 음악이 요염하면서도 음흉하면 곧 사람들은 빗나가고 그릇되며 야비하고 천박하게 된다. 그러므로 음악은 반듯하고 조화로워 사람들의 마음을 어질게 해 주어야 한다. 

◦음악은 성인(聖人)이 즐기던 것으로, 백성의 마음을 선하게 하고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켜 풍속을 바꾼다.

◦세속의 음악도 듣는 사람의 마음을 움직여 다른 사람을 용서하게 해 주는데 하물며 성인(聖人)의 음악은 어떠하겠는가. 그러므로 “예악은 잠깐 동안이라도 몸에서 떠나게 할 수 없다.”라고 한 것이다. 음악이 융성하지 않으면 교화가 이루어지기 어렵고 풍속도 아름답게 변화되기 어려울 것이다.

◦예술은 도덕적인 사회를 실현하는 데 기여해야 하는가?

◦음악[樂]이 바르게 연주되어야 뜻이 맑아지고, 예의가 닦여져서 행실이 완성되고, 눈과 귀는 총명해진다. 또한 혈기는 화평(和平)스럽게 되며, 풍속이 순화되어 온 천하가 모두 편안해지고, 백성들이 덕(德)으로 인도되어 서로 즐거워한다.

◦만일 제작된 작품이 실제로 신뢰할 만한 가치를 지닌다면, 이것을 만든 영혼이 진정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셈이다.

◦성인(聖人)의 도(道)는 음악이 아니면 시행되지 못하고 천하 만물의 감정도 음악이 아니면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지금 세속의 음악은 모두 음탕하고 상스럽다.◦ 개인적 이익보다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우선시하였다.(정약용)

◦리듬과 하모니는 영혼의 내부에 우아함을 심어 주고 영혼을 활기차게 만든다. 음악을 올바로 교육받으면 사람의 정신이 우아해지지만, 그렇지 못하면 그 반대가 된다.(플라톤)

◦선왕이 인정에 비추어 예악을 만들었다. 예는 백성의 마음을 절도 있게 하고, 악은 백성의 마음을 화평하게 한다.,,, 중략... 예악은 잠시도 몸에서 떠나서는 안 된다. 악을 극진히 해서 마음을 다스리면 곧고 양순한 마음이 자연스럽게 일어난다.(예기 (禮記))

◦좋은 음악이라면 유덕한 사람의 용기와 절제를 모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예술에 내재된 미(美)는 우리의 정신을 고상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플라톤)

◦음악은 노랫말, 선율, 리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음악에서 노랫말이 중심이 되며, 선율과 리듬은 노랫말을 따라야 한다. 좋은 음악의 노랫말은 덕을 지닌 사람의 용기와 절제를 모방해야 한다.(플라톤)

◦아름다움[美]은 대상의 완전함, 즉 정확한 비례와 균형에서 나온다. 진리[眞]가 완전하듯이 미 역시 완전해야 하고, 이는 동시에 도덕적인 좋음[善]을 뜻한다. 한편, 예술은 진리를 모방하는 것이다. …(중략)… 예술가들로 하여금 선을 자신의 작품 속에 담게 하고 시민이 이런 작품에 익숙해지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품성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플라톤)

◦예술의 사명은 생명에 대한 경건한 마음, 이웃에 대한 사랑의 마음 등을 모든 사람의 자연스러운 감정이 되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최고 목적으로 간주되는 사랑의 세계를 건설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음악[樂]은 즐거움이다. 즐거움의 감정이 없는 사람은 없으며 사람의 음성과 동작에는 성정(性情)의 변화가 고스란히 드러 난다. 군자는 음악을 통해 도(道)를 얻음을 즐거워하고 소인은 욕망 채움을 즐거워한다. 도로써 욕망을 제어하면 즐거워도 혼란하지 않으며, 욕망으로 인해 도를 잃으면 혼란해져서 즐겁지 않게 된다. 

◦예술의 존재 이유는 올바른 행동을 권장하고 덕성을 장려 하는 데 있다. 예술이 가진 미적 가치가 우리에게 모범이 되고 우리를 도덕적으로 고상하게 해 준다. 

◦음악[樂]은 즐거움이다. 즐거움의 감정이 없는 사람은 없으며 사람의 음성과 동작에는 성정(性情)의 변화가 고스란히 드러 난다. 군자는 음악을 통해 도(道)를 얻음을 즐거워하고 소인은 욕망 채움을 즐거워한다. 도로써 욕망을 제어하면 즐거워도 혼란하지 않으며, 욕망으로 인해 도를 잃으면 혼란해져서 즐겁지 않게 된다. 

◦예술은 인류를 행복으로 이끄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수단 이다. 예술은 오직 인류애를 위한 것이며, 예술의 목적은 미(美)도 아니고 쾌락은 더더욱 아니다. 

◦예술이 추구하는 전형적인 아름다움은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예술가는 그러한 아름다움을 표현하여 인간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해야 한다. 

예술 지상주의

◦예술가가 다른 사람의 욕구를 만족시키려는 순간, 그는 예술가이기를 포기한 것이다. 예술가에게 윤리적 공감은 독창성을 잃게 하는 것이므로 필요 없다.

◦예술은 도덕이 미칠 수 있는 영역 밖에 있다. 왜냐하면 예술의 눈은 아름다운 것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예술은 미적 가치에 의해서만 평가되어야 한다. 예술에 대해 도덕적 평가를 하는 것은 수학 계산에 대해 도덕적 평가를 내리는 것만큼 잘못된 것이다.

◦시(詩)가 도덕적이라든가 혹은 비도덕적이라고 말하는 것은 정삼각형은 도덕적이고 이등변삼각형은 비도덕적이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무의미하다.

◦음악의 근본 요소는 화음이며, 음악의 본질은 리듬이다. 음악은 실제 세계에 대한 표현이나 묘사가 아니다. 음악의 형식은 음 자체의 결합이며, 음악 미는 독자적인 것으로서 음과 음의 예술적 결합에 달려 있을 뿐이다.(형식주의  미학을  주장한  한슬릭)

◦예술은 예술 안에서 완벽함을 추구할 뿐, 예술 밖에서 완벽함을 찾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예술의 눈은 아름답고 불멸하는 것에 고정되어야하기 때문이다.

◦예술가가 창작을 할 때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아닌 다 른 목적을 추구한다면 창작의 결과는 예술적으로 거짓이 될 것이다. 

◦예술은 드러내고 예술가를 숨기는 것이 예술의 목표이다. 예술가에게 윤리적 공감은 불필요하다. 아름다운 사물을 오직 아름다움의 의미로 받아들여야 한다. 

◦예술 작품에 대해 도덕성을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것 은 정삼각형은 도덕적이고 이등변 삼각형은 비도덕적이 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예술의 상업화

◦자본에 종속된 현대 예술은 충동적이고 자극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이윤만을 목적으로 하는 하나의 상품으로 전락하였다. 이러한 상품을 예술로 감상하는 행위는 고유하고 진지한 체험이 아니라, 표준화된 소비 양식일 뿐이다.


▥ 예술과 윤리 기출 선지

☞ 도덕 지상주의

◦예술은 사람들의 도덕성 함양에 이바지해야 한다.

◦예술은 윤리적 본보기가 되어 선의 실현에 기여해야 한다.

◦예술은 도덕성 함양에 기여해야 하는가?

◦예술적 체험이 선의 실현에 이바지할 수 있는가?

◦예술은 도덕적 품성 형성에 기여해야 하는가?

◦예술은 도덕적인 가치를 반영해야 한다고 본다. 

◦예술이 덕(德)을 함양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예술이 올바른 사회 구현에 기여해야 함을 강조한다.

◦예술은 올바른 인격 형성에 기여해야 하는가?

◦음악은 도덕적 교화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가?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순화하는 데 기여해야 하는가?

◦음악의 미적 가치는 도덕적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하는가?

◦예술은 사회 질서 유지에 기여해야 하는가?

◦예술이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예술의 극치가 도덕의 극치와 서로 통함을 강조한다.

◦예술이 미보다 선을 추구해야 함을 강조한다.

◦훌륭한 음악은 사람들에게 도덕적 교훈을 제공해야 한다.

◦예술이 도덕을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아름다움은 질서라고 본다.

◦아름다움 자체는 이데아로서 예술가는 그 아름다움을 모방하는 것이라고 본다.

◦예술은 감정을 순화하여 인격 함양을 도와야 한다.

◦예술과 도덕이 상호 의존적 관계를 맺어야 함을 강조

◦인간의 성정과 무관한 음악은 있을 수 없다.

◦ 음악은 인간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

◦예술은 올바른 품성의 도야에 기여해야 하는가?

◦예술의 가치는 그것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속에서 찾아야 하는가? 

◦인간의 성정과 무관한 음악은 있을 수 없다.

◦음악은 인간의 도덕성 함양에 기여할 수 있다.

◦선(善)을 증진하는 예술을 좋은 예술로 본다. 

◦사회성을 지향해야 한다고 본다 

◦예술 작품의 사회적 영향력을 중시해야 한다고 본다. 

◦예술적 미와 도덕적 선은 서로 연관되어 있다고 본다. 

☞ 예술 지상주의

◦예술 활동은 미적 가치만을 추구해야 하는가? 

◦예술은 독립적인 순수 예술로 존재해야 하는가?

◦예술은 심미적 가치를 배제해야 하는가?

◦예술은 예술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해야 하는가?

◦예술은 도덕적 평가로부터 자유로워야 하는가?

◦예술의 사회성보다 자율성을 강조해야 하는가? 

◦예술은 가치중립적이어야 한다고 본다. 

◦예술을 위한 예술을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예술과 윤리는 상호 독립적이어야 한다고 본다. 

◦예술은 내용보다 형식을 중시해야 한다고 본다. 

◦예술이 지닌 사회적 영향력과 자율성을 강조한다.

◦예술이 그 자체로 목적이어야 한다

◦예술이 오직 미를 구현해야 한다고 본다.

◦예술을 위한 예술을 추구하여 예술의 순수성을 지켜야 한다.

◦예술은 사회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해야 한다. 

◦예술 그 자체를 목적으로 추구해야 하는가?

◦예술은 대중의 기호를 적극 반영해야 하는가?

◦예술의 사회성보다 자율성을 중시해야 하는가?

◦예술은 미적 가치에 의해서만 평가되어야 하는가?

◦예술은 선악의 가치 판단에서 자유로워야 하는가?

◦예술은 예술 그 자체를 목적으로 추구해야 하는가?

◦예술의 윤리성 강조는 예술의 가치를 떨어뜨리는가?

◦예술은 예술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야 하는가?

◦예술은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해야 하는가?

◦예술은 도덕적 평가의 기준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하는가?

◦예술은 사회로부터 분리된 자율적 영역을 확보해야 하는가?

◦음악을 독립적인 순수 예술로 존중해야 하는가?

◦예술은 도덕적 평가에서 자유로워야 하는가?

◦예술은 예술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해야 하는가?

◦예술은 선(善)보다 미(美)를 중시해야 하는가?

◦예술은 사회로부터 자율성을 확보해야 하는가?

◦예술이 도덕적 평가에서 자유로워야 함을 강조한다.

◦예술은 예술 그 자체를 위해 존재해야 함을 강조한다.

◦음악 미란 자율적인 것으로 외재적 가치에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고 보았다.

◦음악 미는 독자성을 지니므로 윤리적 기준에 의한 평가로부터 무관하다고 보았다.

◦음악 미는 독자성을 지니므로 윤리적 기준에 의한 평가로부터 무관하다고 보았다.

◦음악의 내용보다 형식이 중요하다.

◦예술은 사회적 요구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고 본다. 

◦예술에 대한 평가는 도덕적 가치와 분리되어야 한다고 본다.

◦예술이 미적 가치를 생산하는 활동이어야 한다.

◦예술은 예술 그 자체를 목적으로 삼아야 한다.

◦ 음악에 대한 도덕적 규제는 음악의 가치를 훼손하는 것이다. 

◦ 예술의 자율성을 절대적으로 보장해야 하는가? 

◦ 예술은 도덕성보다 순수한 미를 추구해야 하는가?

◦음악에 대한 도덕적 규제는 음악의 가치를 훼손하는 것이다.

◦예술에는 예술 이외의 다른 목적이 없다고 본다. 

◦예술의 독립성을 지향해야 한다고 본다. 

◦예술의 독자성과 자율성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본다.


□ 윤리와사상전자북 - Google Play 도서


□ 동서양 철학윤리 핵심 키워드 - Google Play 도서


□ 윤리 철학 논쟁(윤리와 사상 핵심 쟁점) - Google Play 도서


□ 생활과 윤리(버전3.9) - Google Play 도서


□ 수능 윤리와사상 - Google Play의 Android 앱


□ 수능 생활과윤리 - Google Play의 Android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