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약용 기출선지
◦ 덕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다.
◦ 욕구도 바른 이치를 따르면 선을 행하는 데 방해되지 않는다.
◦ 삶의 원동력으로서 사람의 욕구를 인정한다.
◦ 인간은 자유의지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동물과 구분된다.
◦ 인도 인간이 실천해야 할 후천적 덕목이라 보았다.
◦ 인간에게는 결단을 추구하는 자유의지가 있다고 보았다.
◦ 사덕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는 관점을 비판하였다.
◦ 인간을 혈기적이고 현실적인 존재로 보았다.
◦ 옳은 행위에 대한 자율적 판단과 주체적 선택을 중요시한다.
◦ 4덕은 4단을 확충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다.
◦ 4단은 타고나는 것이다.
◦ 덕은 일상생활의 실천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 인간 심성의 핵심은 행위를 선택해 실천하는 자유의지이다.
◦ 인간은 자연 앞에 독존하는 자율적 인격의 주체이다.
◦ 심성은 결정되어진 것이 아니라 행위의 구체적 실천을 통해 결단을 촉구하는 자유의지
◦ 욕구는 인간행동의 원동력이다
◦ 선을 좋아하는 마음의 경향에 따라 행동하라
◦ 후천적 덕성으로 일상생활에서 도에 따라 실천
◦ 단시설 - 4단은 실마리가 아니라 시작이라는 의미
◦ 누구나 평등하게 자신의 욕구를 발현하고 충족한다.
◦ 우주의 기와 인간의 혈기를 엄격히 구분하였다.
◦ 혈기적 존재= 인간은 생명이 있는 욕구체이며 생리적인 욕구체이다.
◦ 인간은 도와 기질의 성품을 가지며 동물은 기질의 성품을 갖는다.
◦ 인간은 자연 앞에서 독존 자율적 인격의 주체이다.
◦ 덕은 선한 행위의 실천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이다.
◦ 영지의 기호가 있다. 나를 미루어서 다른 사람을 헤아리고 배려한다.(서)
◦ 인간은 기술을 가지고 생활을 영위하는 도구적 존재이다.
◦ 신체적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도구나 기계를 만들어 사용하는 도구적 존재이다.
◦ 인간의 본성은 행위를 선택하여 실천하는 자유 의지이다.
◦ 사람의 혈기와 우주의 기를 분리하였다.
◦ 사람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경항성이 있다. 영지의 기호가 있다.
◦ 사람의 본성 선 악은 정해진 바가 없고 기호만 있다.
◦ 후천적으로 선하게도 악하게도 될 수 있다.
◦ 사덕(四德)은 후천적으로 형성된다.
◦ 삶의 원동력으로서 사람의 욕구를 인정하였다.
◦ 욕구를 채워 줄 수 있는 경제에 대한 국가와 지배층의 역할을 강조하는 실학이 등장하게 되었다.
◦ 경세치용과 함께 도덕적 실천을 중시해야 한다.
◦ 인간에게는 선을 지향하는 경향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 인성은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기호(嗜好)이다.
◦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경향성으로서의 성(性)은 변화시켜야 할 것이 아니라 인간이 따라야 하는 것이다.
◦ 인간은 선이나 악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율적 존재이다.
◦ 인간의 욕구는 생존과 도덕적인 삶을 가능하게 하는 삶의 원동력이다.
◦ 인간의 본성에 인의(仁義)가 들어있지 않다고 본다.
◦ 선을 좋아하고 악을 싫어하는 기호가 인성이다.
◦ 선을 좋아하는 마음의 경향에 따라 행동하렴.
◦ 사덕(四德)은 행위를 통해 획득되는가?
◦ 인간의 선택과 도덕적 책임을 강조한다.
◦ 인간은 선을 좋아하는 경향성을 지닌다고 주장함
◦ 욕구는 삶의 원동력이다.
◦ 성(性)은 선을 즐거워하고 악을 싫어하는 마음의 경향성이다.
◦ 인간은 선이나 악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다.
◦ 삶의 개선과 이익의 증진을 추구했다.
◦ 인간에게 선천적으로 자유의지가 주어졌다고 보았다.
◦ 우주의 기와 인간의 기를 구분하여 인간을 혈기(血氣) 적 존재로 보았다.
◦ 인간은 선을 좋아하는 경향성을 지닌다고 주장함
◦ 욕구도 바른 이치를 따르면 선(善)에 어긋나지 않는다.
◦ 선(善)과 악(惡)을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행위한다.
◦ 인간만이 악을 싫어하는 기호(嗜好)의 본성을 지니고 있다.
◦ 사덕(四德)을 도덕 실천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본다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사 7강 소크라테스 기출선지 (0) | 2015.11.16 |
---|---|
윤사 7강 소크라테스의 기출제시문 (0) | 2015.11.11 |
윤사-5강 이이의 사상 기출제시문 모음 (0) | 2015.11.09 |
5강 이황의 사상 - 기출선지모음 (0) | 2015.11.06 |
4강 왕수인 기출제시문 모음 (0) | 2015.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