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01. 공자(孔子, 기원전551~기원전 479)
1. 사회혼란의 원인-도덕성상실, 인간의 도덕적 타락
2. 혼란의 극복 방안 - 인의 회복, 극기복례, 정명
3. 인(내면적 도덕성): 차별적 사랑, 자기다움, 효제충신
4. 예(禮) : 외면적인 사회 규범 → 자신의 사욕을 극복하여 진정한 예를 회복(극기복례)
5. 정명: 각자의 신분과 지위에 따라 역할 다함
6. 덕치: 도덕>법
7. 대동 사회 - 재화가 고르게 분배 복지
☞ 군자 -천도(天道)를 내면화하여 천지 운행을 주도하고, 만물의 화육을 도모하는 사람
-자신에게 원래 부여된 본성을 인간 세계에서 궁극적으로 실현하는 사람
02. 맹자(孟子, 기원전 372~기원전 289)
1. 성선설-본성은 선하지만 환경과 정욕 때문에 악행
☞사단(四端)측은지심-인(仁) 수오지심-의(義) 사양지심-예(禮) 시비지심-지(智) (4단-확충, 4덕-회복)
☞사단은 지적 탐구나 외적인 강제에 의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미 모든 인간에 선천적으로 내재한 자연적인 마음
2. 성선설의 근거 - 불인인지심, 4단
3. 양지-생각하지 않고도 아는 것
4. 양능-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것
5. 의 > 인 → 사회 혼란 극복을 위해 ‘의’를 더 중시
6. 집의-호연지기-대인, 대장부
7. 왕도정치-왕은 덕으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
8. 민본주의-항산이 있어야 항심이 있다.
9. 정명론=>역성혁명론
03. 순자(荀子, 기원전 298~기원전 238)
1. 성악설-인간은 이기적이며 공격적 à사회 혼란
2. 화성기위-악한 본성을 변화시켜 선하게 교화 (옛 성현들의 가르침에 따라)
3. 예- 위를 제도화, 외적으로 규제하는 도덕규범
4. 예치- 예를 통해 인간의 욕구를 조절
5. 능력있고 지혜로운 자를 신분과 관계없이 중용할 것
6. 선왕은 싸움과 혼란을 싫어하셨으므로 예의를 제정하여 분별
04. 고자
1. 성무선악설(맹자의 성선설 비판)
2. “타고난 그대로가 본성이다”
3. “인간은 식욕과 생식의 두 욕망만을 갖고 있다.”
4. 인간 본성에 선과 불선의 구분이 없는 것은 마치 물의 흐름에 동서가 없는 것과 같다.”
05.묵자(墨子, 기원전 480~기원전 390)
1. 겸애설(兼愛說): 자신, 자가, 자국을 사랑하듯이 타인, 타가, 타국도 사랑하라 무차별적 사랑
2. 유학의 인(仁: 분별적·점진적 사랑) 비판 ->무차별적 사랑 주장
3. 겸애 교리- 서로 차별없이 사랑하고 이익을 나누어야 혼란을 극복
4. 의리합일- 세상에 이익이 되는 것이 곧 의
5. 공자의 예와 악 비판 (3년상 비판)
6. 사치를 삼가고 생산에 힘쓰며 소비를 줄일 것
06.한비자(韓非子, 기원전 280?~기원전 233)
1. 성악설 –순자의 영향 인간은 이기적, 간지
2. 인간의 이기심을 이용하라. 신상필벌의 원칙
3. 국가는 철저하게 형법에 의해 통치해야 한다.
4. 통치- 법, 세, 술
5. 현명한 군주는 그들을 길들인다.
6. 성인은 남들이 자신을 위해 일하지 않을 수 없도록 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으므로 남들의 애정을 기대하지 않습니다.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고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순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맹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 [공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1강 유가 제자백가 출제 경향 (0) | 201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