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제 경향 및 대비
- 인간 본성론에 대한 이해 : 맹자의 성선설은 순선한 성품을 갖고 태어나는 인간은 환경에 의해서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는 주장이며 순자는 태어날 때 부터 가지고 있는 이기적 욕구가 본성이며 인간의 선한 측면은 예에 의하여 교화된 뒤에 형성된 후천적인 것으로 본다. 고자는 타고난 식욕과 성욕이 인간 본성의 전부이기 때문에 선과 악은 후천적으로 결정된다고 본다. 정약용은 인간은 선을 좋아하는 성향의 기호만이 선천적인 것이며 인간의 덕은 후천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본다. 정리하면 본성이란 타고난 선천적인 것을 의미할 때 맹자는 차마 참지 못하는 선한 측면을 순자는 이기적 욕망을 정약용은 기호 즉 좋아함과 싫어함을 고자는 식욕과 성욕을 본성이라고 본다. 선천적 내면적 덕을 강조하는 입장이 맹자이라면 후천적 덕성을 강조하는 것은 순자 정약용 아리스토텔레스 고자의 공통점이다.
- 제자백가 사이의 영향 : 공자의 인과 예를 바탕으로 한 덕치, 맹자의 인과 의를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 순자의 예를 통한 본성의 변화를 강조한 예치의 차이점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 순자의 화성기위의 개념 : 이기적 존재를 부각하는 성악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욕망 충족의 극복을 위한 주체적 노력을 강조한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공자와 맹자가 하늘을 도덕적 근원으로 본 것에 대해 순자는 인간을 하늘과 독립된 자연적 존재로 보았다.
'윤리와 사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고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순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맹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 [공자] 기출선지 (0) | 2015.06.12 |
1강 유가 제자백가 키워드 (0) | 201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