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리와 사상

1강 유가제자백가 사상 맹자 기출선지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azisys.ethicstheory

[맹자의 기출선지]

1. 사람은 모두 사덕의 실마리를 가지고 있다.

2. 사단은 누구나 차별없이 지니고 있는 것이다.

3. 사단을 확충하여 인간성을 실현한다.

4. 인간이 선한 본성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은 선하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이지 모든 인간이 선하게 산다는 의미가 아니다.

5. 인간은 환경에 의해서 악행을 자행할 수 있다. 

6. 도덕적인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선한 본성인 사단의 보존과 확충이 중요하다.

7. 타고난 인간의 본성을 잘 지킬 것을 강조한다.

8. 인간에게 선험적 도덕의식이 존재함을 주장하였다.

9. 옳은 행위를 계속 실천하는 가운데 크고 굳세며 올곧은 기개를 갖게 된다.

10. 인정(仁政)의 실현을 위해 의를 강조한다.

11. 사리(私利)를 얻기 위해 작은 불의도 행해서는 안 된다.

12. 친소의 구별이 있음을 전제로 한 분별적인 사랑

13. 모든 사람을 똑같이 사랑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14. 정치란 서의 정신을 구현해야 한다.

15. 통치자는 덕으로 백성을 감화시키려고 노력해야 한다.

16. 도덕과 예의로 백성을 교화해야 한다. 

17. 백성들의 기본적 생활 보장이 도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8. 백성들에게 일정한 생업 보장해야 한다.

19. 백성을 근본으로 하는 왕도 정치를 주장하였다.

20. 군주가 민심을 배반하고 학정을 일삼으면 혁명을 일으켜도 반역의 죄가 아니다.

21. 천을 선과 악을 구분하는 절대적 기준으로 보았다.

22. 마음은 불쌍한 사람을 측은히 여길 때 나오는 착한 마음이다.

23. 인(仁)과 의(義)를 통해 도덕을 확립해야 한다.

24. 의(義)를 쌓아 호연지기(浩然之氣)를 갖추어라.

25. 정명론을 바탕으로 혁명론을 주장하였다.

26. 자기를 수양(修養)하여 이웃과 백성들을 편안하게 한다.

27. 타고난 도덕적 본성의 함양(涵養)을 강조한다.

28. 사단(四端)을 사덕(四德)의 단서로 보아야 하는가? 

29. 백성이 가장 귀하고 사직(社稷)이 다음이며 군주는 가벼운 존재인가? 

30. 시비를 엄격히 분별하고, 매일 옳은 행위를 해야 하는가? 

31. 타고난 본성의 보존과 확충을 강조한다.

32. 도덕적으로 완성된 성인에 의한 정치를 주장한다.

33. 통치자가 통치자답지 못하여 나라를 위기에 빠뜨리면 바꿔야 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