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윤리

6강 과학기술윤리 기출제시문 기출선지

▥ 기출 제시문

☞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인정

◦“기술은 그 자체로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수단이다. 그것은 인간이 기술로부터 무엇을 만드느냐, 기술이 인간의 무엇을 위해 기여하느냐, 그리고 어떤 조건하에서 기술이 만들어지느냐에 달려 있다.” 야스퍼스(Jaspers, K.)

◦과학 기술에는 주관적 가치가 개입되어서는 안 됩니다. 과학 기술자는 자신의 연구 과정에 대해서만 책임을 져야 하며, 과학 기술의 활용에 대한 책임은 그것을 실제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져야 합니다.

☞ 과학 기술의 가치 중립성 부정

◦“과학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것으로 고찰할 때, 우리는 무방비 상태로 과학 기술에 내맡겨진다.” 하이데거(Heidegger, M.)

◦현대 과학 기술은 인간에게 유용한 것을 얻게 하기 위해 자연을 이용한다. 그러나 엄청난 위력을 가진 과학 기술은 자연을 파괴하듯 인간의 삶을 위협한다. 과학 기술에만 모든 것을 의존하면, 과학 기술의 횡포 앞에 무방비 상태로 내맡겨지게 될 위험성이 있다.

◦오늘날 우리는 어디서나 기술에 붙들려 있다. 기술을 가치중립적인 것으로 고찰할 때 우리는 무방비 상태로 기술에 내맡겨진다.

◦과학 기술자들은 시대적 요구나 연구에 투자한 측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과학 기술자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기능적 역할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할 뿐만 아니라 인류에 대한 책임도 다해야 한다. -사회 책임론

◦과학 기술은 가치와 깊은 관련을 맺을 수밖에 없습니다. 과학 기술자는 진리의 발견 과정에 대해 책임 의식을 지녀야 하며, 인간의 존엄성 구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야 합니다.

☞ 과학 기술 자체에 대한 책임만 강조

◦“내가 원자 폭탄을 만든 것은 사실이지만, 원자 폭탄의 사용에 대한 결정은 정치인이 내린 것이며, 나는 주어진 역할에 충실했을 뿐이다.” 오펜하이머(Oppenheimer, J. R.)

☞ 과학 기술과 관련한 사회적 책임까지 강조 

◦“히틀러의 손에 원자 폭탄이 들어가 인류에게 씻을 수 없는 죄를 지을 수 는 없다. 우리의 연구는 평화로운 원자 에너지 활용 방안에 한정되어야 한다. 하이젠베르크(Heisenberg, W. K.)

◦과학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이루어진다. 어떤 과학을 발전시킬 것인가 그리고 과학적 산물이 어디에 쓰일 것인가의 문제는 과학 그 자체와 분리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자는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연구를 수행해야 하며 과학 정책의 결정에 전문가로서의 조언을 제공해야 한다. -사회 책임론

◦과학 기술은 인류의 행복 증진과 존엄성 실현에 기여해야 한다. 오늘날의 과학 기술이 인류의 삶에 끼칠 수 있는 영향력이 크다.-사회 책임론

▥ 기출 선지

☞ 과학의 가치중립성

◦과학 기술 그 자체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기 때문에 과학기술 개발에만 몰두하면 된다. 

◦기술이란 수단일 뿐이며, 그 자체는 선도 아니고 악도 아니다. 중요한 것은 인간이 기술에서 어떤 것을 끄집어내는가에 있다.

◦어떤 과학자들은 과학 기술이 가치와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실의 영역에 속하며 그것의 활용 문제는 자신과 무관하다고 주장한다. 

☞ 과학기술자체 책임론

◦과학 기술을 가치 중립적인 입장에서 연구해야 한다.

◦과학 연구를 과학계의 자율적 영역으로 간주해야 한다.

◦기술은 그 자체로 본래적 가치를 지닌다.

◦과학자의 연구는 도덕적 평가로부터 자유로워야 하는가?

◦과학자는 연구 대상 선정에 있어서 가치중립적이어야 하는가?

◦갑은 과학 연구를 통해 얻은 지식을 사실 판단의 대상으로 본다.

☞ 과학의 가치개입성

◦과학 기술에 대해 반성적 성찰을 해야 한다.

◦기술의 본질에 대한 반성적 사유가 필요하다.

◦과학자는 연구가 가져올 결과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가? 

◦과학자는 연구 수행이 사회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야 하는가?

◦과학 기술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학 기술의 개발 과정에 가치가 개입된다고 본다.


□ 윤리와사상전자북 - Google Play 도서


□ 동서양 철학윤리 핵심 키워드 - Google Play 도서


□ 윤리 철학 논쟁(윤리와 사상 핵심 쟁점) - Google Play 도서


□ 생활과 윤리(버전3.9) - Google Play 도서


□ 수능 윤리와사상 - Google Play의 Android 앱


□ 수능 생활과윤리 - Google Play의 Android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