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윤리

2강 개인윤리 사회윤리 기출 선지 수능연계분석

▥ 핵심 키워드

☞ 개인  윤리

◦개인의 양심과 도덕성으로 사회 문제 해결

◦선한 의지, 양심, 마음 자세, 성찰, 함양, 의식, 인식

☞ 사회 윤리

◦사회 제도와 구조의 개선으로 현실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

◦강제성, 외적 힘, 법률

▥ 기출 제시문

☞ 사회 윤리

◦사회 문제는 개인적 요인보다 사회적 요인으로부터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제도와 정책의 개선이 필요하다. 

◦도덕적인 인간들로 구성된 사회라고 할지라도 그 사회는 비도덕적일 수 있다.

◦개인이 모여 구성하는 집단은 개인보다 충동을 견제하고 극복할 만한 성찰적 능력이 부족하다. 또한 다른 사람의  입장을 헤아릴 능력도 떨어진다. 따라서 사회 집단은 끝없는 이기심을 보인다.

◦사회는 도덕적 승인을 얻어 내기 힘든 방법을 사용하게 될지라도 정의를 추구해야 한다. 순수한 사랑과 같은 도덕적 이상의 사회적 타당성은 사회적 관계가 복잡해짐에 따라 점차 약화된다. 어떤 집단이 다른 집단에게 일관되게 이타적인 태도를 유지하거나 자신의 현실적 이익을 포기할 것이라고는 생각조차 할 수 없다.

◦현대 사회에는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과 관련된 윤리 문제들이 도처에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차원의 윤리 문제들이 주로 제도나 구조상의 결함에서 발생함을 인식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개인의 도덕성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회적 도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도덕성에 의존하기보다는 사회 구조와 정책을 개선해야 한다.

▥ 기출 선지

☞ 개인 윤리

◦자녀들이 자율적으로 노인을 부양한다. 

◦노인을 함께 살아갈 동반자로 인식한다. 

◦학교폭력을 방관하지 않는 마음 자세를 기른다.

◦학교폭력을 일으킨 가해 학생의 양심에 호소한다.

◦사회 문제의 해결은 개인의 선한 의지만으로 가능하다.

◦공익 광고를 통해 청렴한 사회 분위기를 조성한다.

◦부정부패 방지를 다짐하는 서약서 쓰기 캠페인을 벌인다.

◦청렴 관련 독서 자료를 보급하여 반부패 의식을 강화한다.

◦청백리를 대표하는 인물의 동상을 세워 청렴 의식을 함양한다.

◦개인의 양심과 도덕성이 사회구조의 도덕성을 결정한다.

◦사회 문제의 해결은 개인의 양심과 도덕성 함양만으로 가능하다.

☞ 사회 윤리

◦노인 고용 할당제에 대한 법률을 제정한다.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정부의 생활비 지원을 확대한다.

◦학교마다 학교폭력 전담팀을 만들어 운영한다 .

◦학교폭력 상담센터를 전국적으로 확대 설치한다 .

◦집단의 도덕성은 개인의 도덕성보다 떨어진다.

◦사회 제도의 개선 없이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사회 집단의 도덕성은 개인의 도덕성보다 떨어진다.  

◦도덕적인 개인도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는 이기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

◦사회 정의의 실현을 위해 불합리한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부정의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 구조적 강제가 필요하다.

◦개인의 선한 품성이 집단의 도덕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집단 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외적 강제력이 필요한가?

◦사회 정의의 실현을 위해 제도와 정책을 개선해야 하는가?

◦개인의 양심을 통한 집단 간 갈등의 해결은 한계가 있는가?

◦개인의 도덕성은 집단 간의 관계 속에서 약화되어 나타나는가

◦개인의 선한 품성이 집단의 도덕성을 보장하지 못한다.

◦부정의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 구조적 강제가 필요하다.

◦부패 관련 비리 고발자를 보호하는 법안을 마련한다.

◦개인이 도덕적이어도 사회 집단은 비도덕적일 수 있다.

◦개인 이기주의보다 집단 이기주의를 극복하기가 더 어렵다.


































69 수능 연계 분석


2014.06.03. 1옳은 것 / 니부어 사회윤리/58% / ③

❏ 사회 윤리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도덕성과 별도로 사회 구조의 도덕성을 다루어야 한다.

사회 정의는 정책적 노력과 제도 개선을 통해 실현된다.

집단의 이기적 요구와 개인의 도덕성 간에 갈등이 존재한다.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개인적 양심의 역할을 긍정 한다.

❏ 개인 윤리

개인의 도덕적 행위가 사회 구조의 도덕성을 결정한다.

2014.9.10. 2. 옳은 것/니부어 사회 윤리 / 53%/ ⑤

❏ 사회 윤리

개인들이 지니고 있는 이기적 충동들은 집단 속에서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

사회 부정의는 외적 강제력을 통해 타파되어야 한다.

개인의 양심적 통찰은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한다.

집단들 간의 관계는 윤리적이라기 보다는 매우 정치적이다.

개인들이 양심적이더라도 사회가 항상 도덕적인 것은 아니다

2014.11.19. 3. 문제 상황 조언/ 니부어 사회 윤리/47% /  ④

❏ 사회 윤리

도덕적이거나 합리적인 설득이 통하지 않을 경우 법이나 공권력과 같은 사회적 강제력을 통해서라도 사회 부정의를 해결해야 함을 주장한다. 

사회 정책과 제도의 개선을 통해 계층 간 갈등을 완화하세요.

개인의 도덕적 성찰이 정의 실현에 기여함을 고려하세요.

사회적 강제력을 통해서라도 사회 부정의를 해결하세요.

2015.6.2. 4.린 입장 /니부어 사회 윤리/75% /③

❏ 사회 윤리

사회 집단의 도덕성은 개인의 도덕성보다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사회는 어쩔 수 없이 강제력을 사용하게 될지라도 결과적으로는 사회의 도덕적 이상인 정의를 추구해야 한다고 본다.

개인의 도덕적 선의지 고양은 정의 실현에 기여한다.

사회 구조의 도덕성은 개인 행위의 도덕성에 영향을 준다.

집단 이기주의는 개인의 도덕적 성찰만으로는 극복되기 어렵다. 

◦정치적 강제력은 집단적 갈등의 해결 방안으로 적절하다.

사회를 정의롭게 만들기 위해서는 사회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2015.9.14. 5. 반론/ 니부어 사회 윤리 /43% /④ 

❏ 사회 윤리

개인적 차원에서 집단적 차원으로 이행할수록 이기적 충동에 비해 합리성이나 선의지의 비중이 줄어든다. 따라서 이러한 충동적 경향이 심각하게 확대될 경우 이에 대항할 수 있는 사회적 억제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도덕적인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정치적 방법을 동원 한다.

개인 양심과 집단의 요구 간에 모순이 지속된다.

집단 간 힘의 차이가 사회 부정의의 원인이다.

❏ 개인 윤리

개인적 차원과 마찬가지로 집단적 차원에서도 합리성과 선의지는 언제나 이기적 충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기적 충동이 합리성과 선의지의 고양에 의해 견제되어 결국 모든 집단들이 조화를 이룰 것이다.

2015.11.19.  6. 문제 상황 조언/ 니부어 사회 윤리/42% / ④ 

❏ 사회 윤리

집단이 커질수록 그 집단은 이기적으로 되기 쉽고, 공동의 지성을 따르기가 어려워진다고 본다.

선의지의 통제를 받는 비합리적 수단의 필요성을 깨달으렴.

사회 갈등이 집단 간 권력 불균형에 의해 지속됨을 깨달으렴.

도덕적 설득과 정치적 강제력이 병행되어야 함을 깨달으렴.

2016.06.05.  7. 각각의 입장/ 니부어 롤스사회 //  

❏ 사회 윤리- 니부어

개인은 타인의 이익을 존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덕적 이지만, 사회는 이기심을 합리적으로 통제하기 어려우므로 비도덕적이다. 

정의를 사회가 추구해야 할 최고의 도덕적 이상으로 본다. 

정당한 강제력으로 사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도덕적 설득과 정치적 강제력이 병행되어야 함을 깨달으렴.

❏ 정의론- 롤스

원초적 입장에서 타인의 이익에 무관심한 합리적 개인은 자신의 능력이나 사회적 지위 등을 모른 채 정의의 두 원칙을 선택하게 된다.  

정의를 사회가 추구해야 할 최고의 도덕적 이상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