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과 윤리

1강 윤리학의 종류-기출선지

▥ 핵심 키워드

☞ 이론 규범 윤리학

◦도덕 규범의 체계를 정당화, 합리적 근거를 구성

◦객관적 보편적 도덕 법칙의 정립

◦의무론, 공리주의, 덕 윤리론

☞ 실천(응용) 규범 윤리학

◦현실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

◦구체적 상황, 문제 응용

☞ 메타 윤리학

◦도덕적 언어와 의미의 분석

◦도덕적 추론의 논리적 타당성 입증

☞ 기술 윤리학 

◦도덕적 풍습 또는 관습 서술 및 기술

▥ 기출 선지

☞ 이론 규범 윤리학

◦인생에서 옳고 그름, 선과 악은 무엇인가 ?

◦우리는 인생에서 무엇을 추구해야 하는가?

◦객관적인 도덕 법칙을 논리적으로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도덕적 행위에 대한 보편적 원리를 정당화하고 이론적으로 분석하는 학문

◦도덕 원리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를 다루어 윤리적 행위의 기준을 제공한다.

◦의무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윤리가 대표적이다.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이론적 논의에 중점을 둔다.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를 다룸으로써 현실의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토대를 제공한다.

◦도덕규범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중시

◦판단의 근거가 되는 도덕 원리를 체계화하고자 한다.

◦인간의 도덕적 삶을 안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윤리학은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여야 할 것인가에 관한 보편적인 원리를 연구하고,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의 기준을 제시하는 학문이다. 

◦사회 내에서 보편적으로 작용하는 도덕 규범이 있다

◦“인생에서 옳고 그름, 선과 악은 무엇인가?”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도덕 법칙의 정립을 목표로 한다.

◦도덕성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를 다룬다. 

◦인생에서 옳고 그름의 기준은 무엇인가?

◦도덕적으로 가치 있는 삶이란 무엇인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정당화를 다룸. 

◦인간으로서 추구해야 할 궁극적 목표를 제시한다는 것입니다.

◦도덕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보편적 도덕 원리를 탐구하는 것이 핵심 과제이다.

◦주된 과제는  도덕 규범의 근거인 보편적 도덕 원리를 정립하는 것이다.

◦삶에서 추구해야 할 규범의 제시를 목표로 삼는다.

☞실천 규범 윤리학

◦생태계에서 도덕적 고려의 대상은 어디까지인가?

◦사이버 공간에서 지켜야 할 윤리적 원칙은 무엇인가?

◦이론적 논의보다 생활 속의 윤리 문제 해결을 중시해야 한다.

◦삶의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다양한 도덕 이론을 환경, 생명, 정보 등의 분야에서 발생하는 도덕 문제에 적용하여 해결책을 모색한다.

◦현실의 윤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의학, 과학 등 관련 학문과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윤리학의 여러 이론들을 구체적인 삶의 문제에 적용한다. 

◦윤리학은 여러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삶의 구체적 상황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도덕적인 해결책을 모색한다.

◦도덕 이론을 실생활에서 적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인간의 도덕적 삶을 안내하는 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실제적 도덕 문제의 구체적인 해결책을 모색한다. 

◦생명 복제를 허용해야 하는가? 

◦약소국에 대한 원조는 의무인가, 자선인가?

◦도덕 이론을  적용하여  현대  사회 문제와 위기 극복 방안을 다룸

◦실천적 측면에서 도덕 문제의 해결책을 모색한다는 것입니다.

◦윤리학은 도덕적 행위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정당화를 통해 도덕적 행위의 기준을 제공해야 한다.

◦윤리학은 여러 도덕 이론을 환경, 정보 등의 분야에서 발생하는 도덕 문제에 적용해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주된 과제는 도덕 원리를 응용하여 구체적인 도덕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는 것이다.

◦환경, 생명, 정보 등 삶의 실천적인 영역에서 제기되는 도덕적 문제들의 해결책을 모색하는 ㉡□□ 윤리학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론을 적용하여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려 한다. 

◦적용하는 이론의 타당성 검토를 위해 메타 윤리학을 활용할 수 있다. 

☞ 메타윤리학

◦윤리학의 범위를 도덕적 언어의 의미 분석으로 제한해야 한다.

◦도덕적 논의에 사용되는 언어의 논리적 타당성과 의미를 분석하는 학문

◦도덕 문제의 해결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도덕적 언어의 분석에 주력한다.

◦도덕적 개념의 의미를 명료화하려 한다.

◦도덕적 언어 내지 의미에 대한 분석을 주로 다룬다.

◦판단에 사용된 도덕적 언어의 의미를 분석하는데 주된 관심을 둔다.

◦윤리학은 도덕적 개념 및 추론에 대한 분석적 탐구를 중심으로 윤리적 현상을 명백히 하려는 학문이다. 

◦‘옳다’는 것과 ‘그르다’는 것의 의미가 무엇인가?”의 문제에 관심을 둔다.

◦도덕 원리의 탐구보다 도덕적 언어의 분석을 주로 다룬다.

◦도덕적 언어의 분석을 윤리학적 탐구의 본질로 삼는다.

◦‘옳다’는 것과 ‘그르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도덕적 언어의 의미와 논리적 타당성을 분석한다는 것입니다.

◦윤리적 논의를 명확히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윤리학은 도덕적 추론의 논리적 타당성과 도덕적 언어의 의미 분석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도덕 판단의 타당성 입증을 주요 탐구 과제로 삼고 있다.

◦도덕적 언어의 분석과 도덕적 추론의 규칙 검토에 집중하였다. 하지만 이 윤리학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는 한계를 노출하였다.

☞기술 윤리학

◦사회 문제의 객관적 기술이 윤리학의 본질이다.

◦도덕 현상의 객관적 서술을 윤리학의 본질로 본다.

◦도덕적 현상에 대한 객관적 기술을 주목적으로 한다.

◦각 사회의 고유한 규범들을 객관적으로 서술한다는 것이다.

◦도덕적 관습에 대한 설명과 기술을 강조한다.

◦일상의 도덕 규범에 대한 관찰이 주된 관심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