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윤리사상논쟁

윤리 논쟁 - 맹자와 묵자의 사상비교



논쟁1 : 맹자와 묵자 사상 비교

❏맹자

◦나의 어른을 공경하고서 그 마음을 남의 어른에게까지 이르게 하며, 내 아이를 사랑하고서 그 마음을 남의 아이에게까지 이르게 하면 천하를 손바닥 위에서 움직일 수 있다.

❏묵자

◦전염병이 유행하고 백성들이 춥고 배고파 시궁창에서 죽어가고 있는데, 당신이라면 겸애(兼愛)와 별애(別愛)를 실천하는 임금 중 누구를 따르겠는가? 아무리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겸애를 실천하는 임금을 따를 것이다.

논쟁의 관점 확인 

◦공자는 이웃 어른을 공경하는 것보다 자신의 부모를 먼저 사랑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보며, 묵자는 나의 집과 남의 집을 구별하고 차별하기 때문에 사회가 혼란해진다고 본다. 그러나 공자와 묵자는 가족 이기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보는 면에서 공통점이 있다. 한편 공자는 이로움[利]보다는 의로움[義]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묵자는 의로움을 버리고 이로움을 추구할 것을 강조한다.

논점 정리

◦맹자는 존비친소의 분별이 있는 사랑을, 묵자는 차별 없는 사랑을 강조하였다. 맹자가 이로움보다는 의로움을 중시해야 한다고 본 데 비해, 묵자는 의로움과 이로움이 하나라고 보았다. 

논쟁2 : 맹자와 묵자 사상 비교

❏맹자

◦임금이 내 나라의 이로움[利]을 따지면, 신하들은 내 집안의 이로움을 따지게 되고, 선비는 자신의 이로움을 따지게 됩니다. 그러면 나라가 위태로워질 것입니다. 이로움보다는 어짐[仁]과 의로움[義]이 중요합니다.

❏묵자

◦ 제 생각은 다릅니다. 서로 차별 없이 사랑하고 서로 이로움을 나누도록 해야 합니다. 이것이 성왕(聖王)의 법도이니, 힘써 실행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제가 생각하는 의로움은 (            ).

논쟁의 관점 확인 

◦국가에 충성을 다하는 것입니다.

◦예악(禮樂)을 중시하는 것입니다.

◦실리보다 명분을 따르는 것입니다.

◦천하에 이익을 가져다주는 것입니다.

◦인간의 본성인 자연스러움을 찾는 것입니다.

논점 정리

◦맹자는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외면적 사회 규범으로 의를 강조하였고, 현실에서의 이익보다는 의로움을 중시하였다. 반면 묵자는 유가의 분별적 지식과 차별적 사랑을 반대하여 겸애(兼愛)와 교리(交利)를 주장한다. 맹자가 견리사의(見利思義)를, 묵자는의로움은 곧 이로움이라는 의리합일(義利合一)을 주장한다.

맹자
국내도서
저자 : 이종란
출판 : 을파소 2014.03.31
상세보기